난임검사를 위해 받았던 산전검사, 나팔관조영술,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정액검사 후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난임검사를 통해 생식기관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난소의 나이, 호르몬 상태, 항체 여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각 검사의 항목과 비용도 함께 정리했으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보건소 산전검사 후기(대전 유성구보건소)
산부인과 검사 전, 보건소에서 산전검사로 기본 검사를 하기 위해 남편과 보건소를 방문했습니다. 검사 전 8시간 금식 후 신분증 지참해야 합니다. 검사항목에는 간기능검사, B형 간염, 혈당, 혈액형, 매독, 에이즈, 빈혈, 소변검사가 포함되어 있고, 저희는 기본 검사항목에 갑상선 검사(혈액)를 추가로 받았습니다. 보건소 1층에서 번호표를 뽑고 대기하면 순차적으로 접수 후 검사가 진행됩니다. 검사받으러 온 부부가 많아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며, 검사시간은 1시간 정도가 걸렸습니다.
검사 결과는 일주일 후에 나오며, 전화로 결과 확인 가능하지만 결과지 발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방문 수령만 가능합니다. 본인 결과지 수령은 신분증만 지참하면 되지만 대리인이 수령할 때에는 대리인이 포함되어 있는 등본이나 가족관계증명서, 검사자 신분증, 대리인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보건소에서 별도로 결과 안내를 해주지 않기 때문에, 일주일 후 직접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유성구보건소 주차는 지하 주차장에 하면 되지만, 보건소 오픈 시간에 맞춰 평일에 가도 지하 주차장은 만차여서, 근처 공터에 주차해야 했습니다. 평소에도 지하 주차장이 복잡하니 근처에 주차하고 가는 것이 편합니다. 2023년 9월 기준 검사 비용은 기본검사 29,900원에 갑상선 혈액검사 8,000원 추가하여 총 37,900원이었습니다.
▌나팔관조영술 후기(대전 선사영상의학과)
나팔관조영술은 자궁난관조영술로 난관이 잘 뚫려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자궁 안쪽으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조영제가 자궁에서 나팔관으로 잘 빠져나가는지 x-ray 촬영을 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임신 시도 방법이 달라집니다.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시술 시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검사이고, 생리 시작일로부터 7~10일 사이에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약한 날짜에 선사영상의학과 의원에 내원하여 검사복으로 갈아입고 대기 후 진료실에 들어갑니다. 산부인과 의자와 비슷한 x-ray 검사대에 누워있으면 의사가 들어와서 자궁 안쪽으로 조영제를 주입합니다. 아랫배에 약간의 통증과 뻐근한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저의 경우 조영제가 나팔관으로 빠져나가는 모습이 안 보여서, 누운 상태로 10분 정도 대기 후 재촬영했습니다. 몸이 긴장한 상태에서는 자궁 수축이 발생하여 조영제가 잘 안 들어갈 수도 있다고 합니다. x-ray 재촬영할 때는 처음보다 많은 양의 조영제를 주입하신 건지 찌릿할 정도로 더 아프고, 어지럽고 천장이 빙빙 도는 경험을 했습니다.
검사가 끝나면 입고 온 옷으로 갈아입고 대기 후 검사결과를 듣고, 산부인과에 제출할 방사선 판독 소견서와 x-ray가 담긴 CD를 받습니다. 검사 시간은 저의 경우 두 번의 촬영을 하게 되면서 대기가 길어져 1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주차는 병원 건물에 주차가 가능하며, 병원 건물 주차 시 주차권을 지참하여 도장을 받아야 합니다. 2023년 9월 기준 검사 비용은 나팔관 조영술 44,500원이었습니다.
▌산부인과 난임검사 후기(대전 서울여성병원)
산부인과 난임검사는 생리 시작일로부터 2~3일 사이에 혈액검사를 하고, 생리 시작일로부터 11~12일 사이에 초음파검사, 남편은 정액검사를 합니다. 혈액검사 항목에는 항뮬러관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프로락틴, A형 간염항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음파검사는 배란을 확인하고 생매개 감염균을 검사합니다. 정액검사는 정액의 상태와 성매개 감염균을 검사합니다.
생리 시작 3일째에 보건소 검사 결과지를 챙겨 서울여성병원의 6층 난임센터에 내원했습니다. 예약을 했어도 번호표를 뽑고 대기해야 하며 30분 정도 대기하며 초진문진표를 작성하고 비급여 진료 항목을 안내받습니다. 의사 진료 후 미리 수납하고 5층 임상병리실 가서 혈액검사를 하면 됩니다. 이후 생리 시작 12일째에 나팔관조영술 결과지를 챙겨 서울여성병원에 내원했습니다. 저는 혈액검사 결과를 들은 뒤 초음파검사를 받았고, 남편은 다른 공간에서 정액 검사를 받았습니다. 대기 시간 포함하여 1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6일 뒤 다시 내원하여 초음파검사와 정액검사 결과를 듣고 이후 난임 시술 방향을 정하게 됩니다. 서울여성병원의 주차는 타워주차장(36대 수용)이나 철골주차장(49대 수용), 제2주차장(43대 수용)에 하면 됩니다. 2023년 9월 기준 검사 비용은 혈액검사 238,990원, 초음파검사 80,700원, 정액검사 89,000원이었습니다. 총 408,690원이 들었습니다.
▌난임검사 총 정리
난임검사 과정 | 1. 보건소 기본검사 (+갑상선 검사) |
2. 산부인과 혈액검사 | 3. 나팔관조영술 | 4. 산부인과 초음파/정액검사 |
검사일 | 8시간 금식 후 | 생일 시작 2~3일째 | 생리 시작 7~10일째 | 생리 시작 11~12일째 |
검사비용 | 37,900원 | 238,990원 | 44,500원 | 169,700원 |
총 검사비용 | 491,090원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해식 식단 | 건강하게 즐기는 샐러드와 요리 방법 (0) | 2024.07.10 |
---|---|
인구보건복지협회 | 난임진단검사비 지원금액과 신청방법 (0) | 2024.07.08 |
인공수정 시험관시술 차이 (과정, 성공률, 비용) (0) | 2024.06.24 |
경주 대추밭백한의원 후기 임신 성공 vs 실패 (0) | 2024.06.09 |
힌트 리스펙타 질 유산균 효능 및 복용 후기 (1)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