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부터 신혼부부와 무주택자, 소상공인 등에게 지원하는 혜택이 늘어납니다.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고 출산과 연계한 인센티브를 강화한다고 하니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란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란 서울시에서 양육자의 행복에 초점을 맞추고 저출생 극복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담아 진행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양육자뿐만 아니라 청년, 신혼부부, 난임부부와 같은 예비 양육자를 포함하며, 출산과 육아, 돌봄 외에도 주거, 일과 생활의 균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한다고 합니다. 안정적인 주거가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혼부부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고 출산과 연계한 인센티브를 강화한다고 합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해 2025년 1월부터 2년간 6조 7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신혼부부 결혼 준비 비용과 무주택 가구 주거비 등 다양하게 지원하지만 충족해야 하는 조건이 있으니 아래 글에서 지원대상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신혼부부 결혼 준비 비용 지원
신혼부부에게 결혼준비 비용으로 100만 원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지원대상은 2025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하고 1년이 지나지 않은 중위소득 150% 이하의 신혼부부입니다. 결혼 준비 비용이 부담스러운 신혼부부를 위해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신부 메이크업)와 신혼 살림살이 장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필수 육아용품을 최대 반값으로 구매할 수 있는 '탄생응원몰'도 2025년 3월에 오픈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저귀와 분유 등 필수 육아용품의 가격이 급등해 가계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탄생응원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20% 할인 쿠폰도 발행한다고 하니 이용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아이가 있는 무주택 가구는 월 30만 원씩 총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지원대상은 2025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 가구로,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이며 주택은 전세보증금 3억 원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내년 1월부터 2년간 지원하고, 2025년 1340 가구, 2026년 4140 가구가 해당된다고 합니다.
무주택 신혼부부에게는 장기전세주택Ⅱ (미리 내 집)를 올해 1000호, 2026년부터 연간 4000호씩 공급한다고 합니다. 신혼부부 임차 보증금 이자 지원 사업의 대출 한도는 2억 원에서 3억 원으로 높아지고, 지원되는 금리는 연 최대 3.6%에서 4.5%로 상향된다고 하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관 후기(2) | 과배란 유도 시작과 레코벨, IVF-M HP 멀티도즈 600 후기 및 주의사항 (0) | 2024.11.07 |
---|---|
시험관 후기(1) | 신선배아 시험관 시술 과정(과배란유도, 배아이식) (0) | 2024.11.04 |
인구보건복지협회 | 난임의료비(검사, 치료비) 지원금액과 신청방법 (0) | 2024.10.30 |
보건소 | 난임지원 원외약처방 신청 방법과 필요 서류 및 후기(약제비 지원) (4) | 2024.09.08 |
인공수정 시술 당일 후기와 총비용 주의사항 듀파스톤정 (0)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