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Jv4DCoG6dKtOIOtj8FYlEUmE3gEgy8XxnupQI864XLs 임신 준비를 위한 검사와 예방접종 및 영양 챙기기
본문 바로가기
건강

임신 준비를 위한 검사와 예방접종 및 영양 챙기기

by №hi 2024. 11. 20.

 

임신을 준비한다면 부부의 건강을 검사하고 임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임신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임신 준비를 위한 검사와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한 예방접종, 영양과 식습관에 대해 정리했으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임신 준비를 위한 검사

 

 

 

 

임신을 준비한다면 아이를 가지기 전에 부부의 건강을 검사하고 임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평소 건강에 문제가 없더라도 임신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해 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가족 중 유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임신하기 전에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과 검사를 받으면 미리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준비를 위한 검사에는 면역 여부 검사, 만성 질환에 대한 검사, 유전질환에 대한 선별검사, 미생물학적 검사나 혈청학적 검사, 부인과 진찰 및 검사가 있습니다. 각 지자체 보건소나 산부인과 등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는 산부인과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간기능 2종, B형 간염(항원, 항체), 혈당, 혈액형, 소변검사(뇨당, 요단백), 매독, 빈혈, 에이즈, 갑상선 검사(추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 진행하지 않는 검사는 산부인과에서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에 따라 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정액 검사비를 지원하는 보건소도 있으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한 예방접종

 

 

 

 

임신을 준비하며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백신접종을 미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풍진과 같은 생백신의 경우에는 임신을 시도하기 최소 1개월 이전에 접종해야 합니다. 간염백신과 같은 불활성화 백신의 경우에는 태아의 기형발생과 관련이 없으나 생백신의 경우에는 임신 중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합니다. 미리 예방접종 하면 좋은 항목들은 성인용 Tdap(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MMR 백신(홍역, 볼거리, 풍진), 자궁경부암 백신, 수두백신, A형·B형 간염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수막구균 백신(당뇨, 심혈관 질환, 면역저하, 천식 등 고위험군인 경우)이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은 6개월에 걸쳐 접종하는데, 접종 중에 임신이 되면 나머지 접종은 출산 후로 미루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복용하고 있는 약이 있다면 약물 정보를 파악하여 태아의 위험성과 관련이 있는 약물은 피하고, 안전한 약물로 교체해야 합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백일해 백신을 아이가 태어나기 전에 미리 접종하여 아기에게 감염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건강한 영양과 식습관 챙기기

건강한 영양과 식습관 챙기기는 남녀 모두에게 해당합니다. 특히 음주와 흡연, 약물 노출은 피해야 합니다. 기형 유발물질로 난임을 유발하거나 자연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필수 영양성분으로 태아의 성장을 돕는 엽산은 임신 초기 태아의 뇌와 신경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신 3개월 전부터 임신 초기까지 복용하면 태아의 신경관 결손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모든 가임 여성에게 매일 0.4mg~0.8mg의 엽산을 복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균형적인 식습관은 건강관리와 적정 체중 유지를 위해 필요합니다. 엽산은 시금치, 키위, 오렌지 등 녹황색 채소와 과일에 함유되어 있으나 음식 섭취와 더불어 엽산제를 따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전 비만은 난임의 원인이 되며, 임신 후에는 고혈압과 당뇨병, 유산, 거대아 등 여러 위험이 따를 수 있다고 합니다. 

 

 

 

 

임신준비
임신준비